가죽은 꼭 동물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멕시코에서 지금 가장 주목 받고 있는 패션 업체 ‘데세르토(Desserto)’는 선인장 가죽을 이용해 제품을 만든다. 자동차...
비건브랜드
땅에 묻으면 퇴비가 되는 비건 티셔츠, 볼레백
땅에 묻으면 12주 후 퇴비가 되는 친환경 티셔츠가 있다. 영국의 아웃도어 브랜드의 볼레백은 우리가 입다 버린 옷이 100년간 썩지 않고 환경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페트병에서 추출한 니트, 플리츠 마마
16개의 폐 페트병에서 원사를 추출해 니트백을 만드는 플리츠 마마. 니트 공법을 활용해 원단을 재단해서 봉제하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자투리 원단이 발생하지 않는 제로...
비건용어
비건 패션이란
의식적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채식주의자의 식습관인 비거니즘이 윤리적 소비의 일환으로 패션과 뷰티를 비롯한 산업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모피, 가죽,...
비건 뷰티란
비건의 사전적 의미를 따져보면 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뜻하지만 뷰티 시장에서 비건의 의미는 보다 포괄적이다. 식물 유래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은 ‘천연 화장품’,...
비건 패션과 비건 뷰티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같은가
비건 뷰티와 비건 패션은 모두 비 동물실험과 동물성 성분 배제,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소비로써 인식되고 있다. 비건 패션에서는 동물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안 소재를...
숫자로 보는 비건
화장품 개발 때문에 희생되는 동물 수 2만 7천 마리
뷰티 업계에서도 잔인한 동물실험에 대한 인식이제고되면서 비거니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매년 화장품 개발 실험으로 희생되는 동물의 개체 수는 2만 7천마리 이상이고, 동물실험을...
토끼는 왜 마스카라를 3천번 발라야 했나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것을 인증하는 인증 마크로 도약하는 토끼를 상징하는 리핑버니가 있다. 왜 토끼일까? 과거 한 화장품 업체가 신제품 마스카라의 유해성을 검사하기 위해...
전 세계 온실 가스 배출량의 10%는 패션산업에서
20년동안 옷을 입는 사람은 두 배도 늘지 않았는데, 의류 생산량은 400배 이상 늘어났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0%는 패션산업에서 나온다고 한다. 이는 항공과 선박...